css

CSS 선택자 요약표

지구별에 2014. 11. 21. 11:31

 

 

CSS 선택자 요약표

 

어제 날짜로 해서, CSS 선택자를 모두 다루었어요.

 

CSS1부터 CSS3까지 선택자는 모두 42가지나 됩니다!!

 

실제 사용하는 선택자는 그렇게 많지는 않지만, 한번씩 읽어 두시면 유용하게 써 먹을 수 있으실 거예요.

 

오늘은 지금가지 공부한 css 선택자를 전부 하나의 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또한, CSS 선택자란 무엇인지 간략히 알아 보고, 어느 때 어느 선택자를 사용하면 좋을지 링크를 달아 두었어요.

 

 

CSS 선택자란?

 

글꼴이라든가, 색상, 너비, 높이 등 스타일을 줄 때 대상을 지정해야 하는데 이것을 선택자라고 합니다.

 

CSS란? (HTML과 CSS의 차이, CSS 작성법)

 

 

▶타입 선택자

 

가장 흔히 쓰는 선택자는 Type selecetor 즉 태그(요소명) 선택자입니다.

 

P {color: blue;}

 

 

▶ID, CLASS 선택자

 

또한 id, class 선택자도 많이 쓰입니다.

 

id 는 스타일을 줄 때 한 가지만 지정해서 쓰는 이름이고

 

     하나의 문서에 고유한 id 하나밖에 쓸 수 없습니다.

 

<div id="contents">

 

div#contents {text-align:center;}

 

class는, 그룹으로 묶어서 스타일을 지정할 때 쓰는 이름입니다.

 

<p class="test">내용1</p>

<p class="test">내용2</p>

<p class="test">내용3</p>

 

.test{color:red;}

 

class, id 선택자

 

 

▶ 자손, 자식, 같은 유형의 형제들에게 스타일을 적용할 때

 

인접 형제 선택자, 일반 형제 선택자 차이

 

자손 선택자, 자식 선택자 차이

 

 

▶ 링크에 다양한 스타일을... 링크 선택자를

 

링크 가상 클래스(:link, :visited,:hover, :active)

 

 

▶ 첫번째 글자와, 첫번째 줄에만 적용하고자 할 때는

 

::first-letter 가상 요소

 

::first-line 가상 요소

 

 

▶html이 아닌 css로 문서를 생성하고 싶을 때는

 

:before , :after 가상 요소

 

 

▶form 양식에 다양한 스타일을 시도하고자 할 때

 

:focus 가상 클래스

 

:target 가상 클래스

 

:enabled :disabled 가상 클래스

 

:checked 가상 클래스

 

 

▶문서 위치에 기반하여 적용하고 싶을 때는

 

:nth-child() 가상 클래스

 

:nth-of-type() 가상 클래스

 

:first-of-type 가상 클래스

 

:last-of-type 가상 클래스

 

:only-child :only-of-type 가상 클래스

 

:nth-last-child 가상 클래스

 

:nth-last-of-type 가상 클래스

 


 

▶빈 요소에 적용하고 싶을 때

 

:empty 가상 클래스

 

 

▶부정형 스타일을 주고자 할 때

 

:not 선택자

 

 

▶속성과 속성값을 이용하여 스타일을 주려고 할 때

 

속성 선택자

 

 

▶사용하는 언어에 따라 스타일을 적용하려면

 

:lang 가상 클래스

 

 

▶전체 요소에 스타일을 적용하고 싶을 때

 

전체 선택자

 

 

[CSS 선택자 요약표]

 

종류 표시 방법 설명 CSS level
전체 선택자 * 전체 요소에 지정 2
타입 선택자 E 요소 이름에 지정 1
속성선택자 E[foo] "foo" 속성을 지닌 요소일 때 2
속성선택자 E[foo="bar"] "foo" 속성값이 정확히 "bar"일 때 2
속성선택자 E[foo~="bar"]  "foo" 속성값이 "bar"이거나
 '공백으로 분리된 "bar"일 때
2
속성선택자 E[lang|="en"]  "lang" 속성값이  "en"으로 시작하거나 "en-" 2
속성선택자 E[foo^="bar"]  "foo"속성값이 정확히 "bar"로 시작 3
속성선택자 E[foo$="bar"]  "foo"속성값이 정확히 "bar"로 끝남 3
속성선택자 E[foo*="bar"]  "foo" 속성값 "bar"가 나오는 어디든 3
구조적 가상 클래스 E:root 문서의 최상위 단계의 요소 3
구조적 가상 클래스 E:nth-child(n) 부모의 n번째 자식인, E요소 3
구조적 가상 클래스 E:nth-of-type(n) 같은 유형의 n번째 형제인, E요소 3
구조적 가상 클래스 E:nth-last-child(n) 맨 마지막부터 계산해서 같은 부모의
n번째 자식인, E요소
3
구조적 가상 클래스 E:nth-last-of-type(n) 맨 마지막부터 계산하여, 같은 유형의
n번째 형제인 E요소
3
구조적 가상 클래스 E:first-child 부모의 첫번째 자식인, E요소 2
구조적 가상 클래스 E:last-child 부모의 마지막 자식인, E요소 3
구조적 가상 클래스 E:first-of-type 같은 유형의 첫번째 형제인, E요소 3
구조적 가상 클래스 E:last-of-type 같은 유형의 마지막 형제인, E요소 3
구조적 가상 클래스 E:only-child 부모의 유일한 자식인, E요소 3
구조적 가상 클래스 E:only-of-type 같은 유형의 유일한 형제인, E요소 3
구조적 가상 클래스 E:empty 자식이 전혀 없는 빈  요소 3
링크 가상 클래스 E:link 방문 전 링크 1
링크 가상 클래스 E:visited 방문 후 링크 1
사용자 행동 가상 클래스 E:active 마우스를 클릭할 때 1&2
사용자 행동 가상 클래스 E:hover 마우스 오버했을 때 1&2
사용자 행동 가상 클래스 E:focus 요소에 초점이 맞춰질 때 1&2
target 가상 클래스 E:target 참조된 url의 대상이 되는 E 요소 3
:lang() 가상 클래스 E:lang(fr) "fr"언어를 사용하는 E요소 2
ul 요소 상태 가상 클래스 E:enabled enabled 상태인 요소 3
ul 요소 상태 가상 클래스 E:disabled disabled 상태인 요소 3
ul 요소 상태 가상 클래스 E:checked checked 상태인 요소 3
::first-line 가상 요소 E::first-line E 요소의 첫번째 줄 1
::first-letter 가상요소 E::first-letter E 요소의 첫번째 문자 1
::before 가상 요소 E::before E 요소 앞에 생성된 내용 2
::after 가상 요소 E::after E 요소 뒤에 생성된 내용 2
class 선택자 E.warning 클래스명이 warning 인 E요소 1
ID 선택자 E#myid "myid"란 id를 지닌 E 요소 1
부정 가상 클래스 E:not(s) 선택자 s와 일치하지 않는 E 요소 3
자손 선택자 E F E 요소의 자손인 F 요소 1
자식 선택자 E > F E 요소의 자식인 F 요소 2
인접 형제 선택자 E + F E 바로 뒤에 오는 F요소 2
일반 형제 선택자 E ~ F E 뒤에 오는 F 요소 3

 

 

위 선택자 요약표는 아래 사이트를 토대로 정리한 것입니다~

 

http://www.w3.org/TR/selectors/

 

 

 

css 선택자, 선택자 종류와 사용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