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33

[html/css]문서를 연결하는 a 태그 (href, title, target 속성) [html/css]문서를 연결하는 a 태그 (href, title, target 속성) 인터넷을 사용할 때 가장 많이 보는 것 중 하나가 이 링크인데요. 링크를 통해 다른 웹페이지로 이동하거나, 문서 내에서도 이동할 수가 있습니다. 이렇게 문서를 링크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태그가 바로 태그 입니다. 태그 anchor '정박지' 또는 '닻 '의 약자입니다 태그는 혼자만 사용하지 않고 아래와 같은 속성과 함께 사용합니다. herf 속성 hypertext reference 약자로, 연결할 주소를 지정하는 속성입니다. 사용 예 : 지구별 안내서 바로가기 따옴표(" ")를 빠트리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링크가 정상적으로 나오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주소는 아래처럼 다양하게 넣을 수 있습니다 절대 URL (Unif.. 2014. 4. 7.
안양천에 만개한 벚꽃길 걷기. 핸드폰으로 벚꽃 사진 찍기 도전 안양천에 만개한 벚꽃길 걷기, 핸드폰으로 벚꽃 사진 찍기 도전 지난주 일요일에 안양천엘 다녀 왔습니다... 날씨가 오히려 이번주보다 포근하기도 했거니와, 토요일 비가 온 후 보니 개나리며 벚꽃이 활짝 피어있더라구요... 게다가 꽃 구경은 남보다 조금 이른 시기에 하는 게 붐비지도 않고 좋은 것 같아서요.. 저희 집에서 비교적 가까운 곳을 찾다 보니 안양천이 생각 났습니다. 전에 안양천 길을 걸은 적은 있지만, 벚꽃이 필 적에 굳이 찾아가 본 적은 없었는데.... 이곳이 벚꽃길로 무척 유명하다는 걸 뒤늦게야 알았습니다 게다가 안양천 길이 상당히 길어서 자전거를 가지고 가는 것도 참 좋을 것 같아요. 제가 내린 곳은 구일역 부근입니다. 1호선을 타도 되고, 버스를 타고 가시는 분이라면 정류장 혹은 쪽에서 내.. 2014. 4. 5.
[html/css] display 속성 (inline, block, none, inline-block 차이), visibility 속성(visible, hidden, collapse 차이) display 속성 (inline, block, none 차이), visibility 속성(visible, hidden, collapse 차이) 오늘 알아 볼 속성은, 어떤 요소를 화면에 보이거나 숨길 때 사용하는 display와 visibilty 속성입니다. *display와 visibilty 차이* 둘의 차이는 영어의 뜻을 보면 좀 더 쉬울 것 같아요 display: 표시, 나타냄 visibilty : 볼 수 있음 즉 display 속성은 요소를 어떻게 표시할지를 선택하고 visibility 속성은 요소를 보일지 말지 결정하는 속성입니다. 밑에서 더 자세히 다뤄볼게요 *들어가기 전에 알아둘 점* 요소(즉 태그)는 inline 요소와 block 요소로 나뉘는데요 inline: 줄 속에 넣는 요소라고 하.. 2014. 4. 5.
[html/css] overflow 속성 (overflow: visible, hidden, scroll, auto 차이) [html/css] overflow 속성 (overflow: visible, hidden, scroll, auto 차이) 오늘 배워 볼 속성은 overflow입니다. overflow 속성은 요소의 박스에 내용이 더 길 때 어떻게 보일지 선택하는 속성입니다. 상속여부: 상속되지 않음. visible: 기본값으로 내용이 더 길어도 그대로 보입니다. (내용이 흘러넘침) hidden : 내용이 넘치면 자릅니다. 자른 부분은 보이지 않습니다. scroll : 내용이 넘치지 않아도 항상 스크롤바가 보입니다. auto : 내용이 잘릴 때만 스크롤바가 보입니다. 사용 예: #container { overflow: hidden; } 그럼 실제 400x 100 크기의 박스를 만들어서 똑같은 내용을 담아보겠습니다. (scr.. 2014. 4. 4.
[html/css] z-index 속성으로 배치 순서 결정하기 [html/css] z-index 속성으로 배치 순서 결정하기 어제는 레이아웃이나 배치를 정렬하는 position 속성에 대해 배웠습니다. position 속성으로 정렬하기 (static, relative, absolute, fixed 차이) 그런데 이렇게 배치한 객체가 겹칠 때가 있습니다. 오늘 배울 부분은 z-index란 속성인데요 어느 객체가 앞으로 나오고, 뒤에 나올지 배치 순서를 결정하는 속성입니다. z-index는 position (relative, absolute, fixed)속성이 적용된 요소에서만 작동합니다. auto : 기본값으로 z-index를 지정하지 않은 것과 같음 number : 배치 순서를 결정, 숫자가 낮을수록 뒤에 배치되며 숫자가 높을수록 앞에 나옴 -1 처럼 음수도 가능합.. 2014. 4. 3.
[html/css] position 속성으로 정렬하기 (static, relative, absolute, fixed 차이) [html/css] position 속성으로 정렬하기 (static, relative, absolute, fixed 차이) 지난 시간엔 float 속성을 배웠는데요, float는 객체를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정렬해서 레이아웃을 배치할 때 유용하다고 했습니다. [css 기초] float 속성에 대하여 오늘 배울 position 역시 레이아웃을 배치하거나, 객체를 위치시킬 때 사용할 수 있는 속성 입니다 *position 속성은 상속되지 않음* position: static position: static은 초기값으로 위치를 지정하지 않을 때와 같습니다 보통 static은 사용할 일이 없지만, 앞에 설정된 position을 무시할 때 사용되기도 합니다. top, bottom, left, right 속성값이 적.. 2014. 4. 1.
[html/css] padding 속성 사용법(padding-right, padding-left, padding-top, padding-bottom) [html/css] padding 속성 사용법(padding-right, padding-left, padding-top, padding-bottom) 지난 시간에는 margin 속성을 이용하여 레이아웃에 여백을 넣었습니다. margin 속성 자세히 알아 보기 이번엔 padding 속성을 사용하여 레이아웃에 여백을 넣어 보겠습니다. padding은 아래 그림에서 content(내용)와 border(선)사이의 공간을 말 합니다. 우선 아래 그림과 같은 레이아웃을 그려보았습니다. 지난 번 레이아웃에서 C D와 B 사이에 margin을 넣었다면, 이번엔 선 A를 하나 더 그려서, A와 B 사이에 padding을 넣는 방법입니다. 그림에 너비까지 계산해 보았는데요, 너비 값 계산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width+.. 2014. 3. 31.
요즘은 어떻게 사는지... 요즘은 어떻게 사는지... 일기란 걸 써본 지가 무척이나 오래된 것 같다 블로그가 아주 사적인 공간 같으면서도, 다른 사람에게 노출되는 공간이다 보니 개인적인 일기가 바람직하게 느껴지지 않기도 하고, 읽을 사람이 또 있을까 싶기도 하고..... 요즘은 신영복의 '강의', 미셸 루트번스타인,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생각의 탄생' 곰브리치 '서양미술사' 을 읽고 있으며 최근의 나란 사람에 대해 생각해 보고 있다. 신영복의 책 '강의'에서는 관계론에 대해 말한다. 나를 특징짓는 것이 나 자신에게서부터 온다기보다 관계에서 온다는 발상 이것이 동양적인 것이라고...... 한때 새로운 관계를 만들려고 노력했던 시도와 그 시도가 불발로 되었던 이유에 대해 나름 내린 결론은 결국 나 자신이었는데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 2014. 3. 28.
[html/css] clear 속성에 대해 배워 보자 (clear:none, right, left, both) [html/css] clear 속성에 대해 배워 보자 (clear:none, right, left, both) 얼마 전에 float 속성에 대해 배웠는데요 float는 오른쪽, 왼쪽으로 객체를 띄워서 정렬하는 속성이라고 했습니다. 사진에다가 float 속성을 적용하면 이후에 오는 글자나 다른 요소들은 그 사진 주위로 돌러싼 형태가 됩니다. [css 기초] float 속성에 대하여 사진 주위로 글자가 따라 붙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로 clear 속성을 사용하면 됩니다... clear는 '취소하다'라는 뜻으로 left는 float:left값을 취소하고 right는 float:right값을 취소합니다 clear: none는 기초값으로 clear를 설정하지 않은 것과 같습니다 clear: lef.. 2014. 3. 26.
[html/css] margin 속성 자세히 알아 보기(margin-top,margin-left, margin-bottom, margin-left 설정 방법) [html/css] margin 속성 자세히 알아 보기 (margin-top, margin-left, margin-bottom, margin-left 설정 방법) 어제는 border 속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는데요... border와 함께 자주 사용되는 속성이 border 속성 자세히 알아 보기(border-width, border-style, border-color 사용법) padding과 margin 입니다. padding: 본문 내용과 border 사이의 여백 border : 선 (선 굵기를 다양하게 지정할 수 있으며, 선을 그리지 않을 수도 있음) margin : border와 바깥과의 여백. P-B-M 이라고 외워두시면 좋습니다. 어제 배운 border(선)와 바깥과의 여백을 margin이라고.. 2014. 3. 25.
반응형